여초서예대전 공모전
D-

세부요강

좌우 스크롤을 통해 내용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세부요강
  제11회 여초전국휘호대회 제48회 전국학생휘호대회
대회일시 2025년 7월 26일(토) 10시, 휘호시간 10:30~12:30(120분) 2025년 7월 26일(토) 10시, 휘호시간 10:30~12:00(90분)
대회장소 인제다목적체육관 현장 휘호
※인제터미널(도보 20분, 1.4KM) → 대회장(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44번길 113)
참가구분 현장명제부|사전명제부 초등부|중고등부
참가종목 한문/전각, 한글, 문인화, 순수캘리 한문/전각, 한글, 문인화
참가자격 현장명제부·사전명제부 : 20세 이상 누구나 (2006년생~)
※ 단, 서예 4단체 초대작가는 참가할 수 없음(예외 경우는 하단 참조)
예외 경우 예) 4단체 ‘한문’ 초대작가 ⇨ ‘한문’ 이외의 다른 부문에는 참가 가능함
서예 4단체 ① 한국미술협회 ② 한국서예협회 ③ 한국서가협회 ④ 한국서도협회
※ 대회 종료 이후라도 적발 시에는 수상자격 박탈 (참가비 환불 불가)
· 1인 1분야만 접수 / 출품 가능
초등부 : 초등학생 또는 8세 이상부터 13세 이하까지 (2018년생 ~2013년생)
중고등부 : 중학생, 고등학생 또는 14세 이상부터 19세 이하까지 (2012년생 ~ 2007년생)
· 1인 1분야만 접수 / 출품 가능
작품규격
  • 한글/한문/문인화/순수캘리: 1. 현장명제부 : 전지(70×140cm) 2. 사전명제부 : 1/2지(35×140cm) 3. 학생부(초등) : 1/4지(35×70cm) 4. 학생부(중고등) : 1/2지(35×140cm)
  • 단, 전각 부문의 작품 규격은 참가자의 연령에 관계없이 다음 각 호와 같다. 1. 전각석은 1~2치(6×6cm) 이내 2. 1/4지(35×70cm), 전각석은 개인 지참
심사방법 현장심사 및 당일발표 - 점수제(단, 대상 및 최우수상은 점수제와 합의제 병행)
시상내역
구분
현장명제부
사전명제부
중고등
초등
대상(3명)
1명
500만원
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
-
-
1명
100만원
1명
50만원
최우수상(7명)
4명
각 200만원
1명
100만원
1명
50만원
1명
30만원
우수상(25명)
10명
각 50만원
5명
각 30만원
5명
각 20만원
5명
각 20만원
작가인증 점수 ▶ 현장명제부 : 대상(바로 초대작가 인증), 최우수상(6점), 우수상(5점), 장려(4점), 특선(3점), 입선(1점)
▶ 사전명제부 (현장명제부의 1/2) : 최우수상(3점), 우수상(2.5점), 장려(2점), 특선(1.5점), 입선(0.5점)
*2026년부터 초대작가 점수를 15점으로 상향할 예정입니다.(공지사항 참고)
참가비 ▶1인당 10,000원(금일만원) ※ 참가비는 현장에서 기념품으로 교환 지급(교환 내용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.)
*납부 계좌 - 우리은행 217-000987-13-011 예금주:동아일보사
접수기간 ▶2025년 6월 23일(월) 09시 ~ 7월 22일(화) 24시
※ 당일 현장접수 불가, 우편접수의 경우 접수마감일 소인분까지 인정함
접수방법 ▶홈페이지 온라인, 우편, 팩스, 이메일 접수(현장명제부, 사전명제부는 우편 접수 가능)
① 여초서예대전 홈페이지(www.yeochoseoye.kr) 공지사항에서 온라인 참가접수
② 참가비 입금 → 주최 측에서 입금 확인 후 접수완료 이메일 발송(사무국 운영일 기준 후 2~3일 이내)
▶이메일 : yeocho-donga@naver.com ▶팩스 02-2020-1639
▶주소 : (우편번호 38069) 경주 용황로 24, 2층 더레드커뮤니케이션즈
제공사항 ▶셔틀버스(동서울, 춘천) ※선착순 마감(입금완료기준) 사전 신청자에 한해 가능하며 성인은 참가자만 탑승가능, 학생은 보호자 1명만 동승가능
지참물 휘호에 필요한 도구 및 신분증
※ 출품작에 낙관인 ‘날인’ 필수(인주는 개인 지참), 가로 105cm, 세로 130cm에 들어가는 좌식 탁자 반입 가능, 입식 탁자는 반입금지, 단, 몸이 불편할 경우 사전 연락에 한해 가능(증명서 등 소명할 수 있는 서류 당일 현장 제출), 자전 지참 가능 / 전자기기 사용 금지(검색·열람 모두 불가)
휘호에 필요한 도구 및 등본

제11회 여초전국휘호대회 휘호명제/주의사항

사전 명제 제시(각 서체 중 자유 선택)
당일 현장에서 명제 제시(각 서체 중 자유선택)

※ 사전명제부와 현장명제부로 접수시 선택

[공통 명제] 사전 명제 제시(각 서체 중 자유 선택)
사전명제부 [한글]
  • -김소월 시
    새하얀 흰눈 가비얍게 밟을 눈
    재가 타서 날릴 듯 꺼질 듯한 눈
    바람엔 흩어져도 불길에야 녹을 눈
    계집의 마음 님의 마음
  • 오우가 -윤선도 시
    작은 것이 높이 떠서 만물을 다 비추니
    밤중에 광명이 너만한 이 또 있느냐
    보고도 말 아니하니 내 벗인가 하노라
  • 한산섬 달 밝은 밤에 - 이순신 시
    한산섬 달 밝은 밤에 수루에 혼자 앉아
    큰 칼을 옆에 차고 깊은 시름 하는 적에
    어디서 일성호가는 나의 애를 끓나니
  • 삭풍은 나무 끝에 -김종서 시
    삭풍은 나무 끝에 불고 명월은 눈 속에 찬데
    만리변성에 일장검 짚고 서서
    긴파람 큰 한 소리에 거칠 것이 없어라
사전명제부 [한문]
  • 書山有路勤爲徑 學海無涯苦作舟
    지식의 산에는 많은 길이 있으나 오르는 데는 부지런함이 지름길이고,
    배움의 바다는 끝없이 넓어서 온 힘을 다해 배를 저어 나아가야 한다. - 韓愈詩
  • 明月好同三徑夜 綠楊宜作兩家春
    밝은 달빛 좋아라면 밤에 삼경(三徑)을 함께 비추고,
    푸른 버들 돋아나면 의당 두 집 봄빛을 나누리라. - 白居易詩
  • 採藥忽迷路 千峯秋葉裏 山僧汲水歸 林末茶煙起
    약초 캐다 홀연히 길을 잃었는데 일천 봉우리가 가을 낙엽 속에 있네.
    산중 스님이 물 길어 돌아가더니 숲 끝에서 차달이는 연기피어나네. - 栗谷李珥詩
  • 借問順風帆 何如下瀨船 到頭欲交語 各自去茫然
    순풍에 돛단배가 빠르다지만 급류 따라 흐르는 배능가할쏘냐
    도착하면 이런 얘기 나누렸더니 저마다 갈 길 따라 떠나가누나. - 農巖金昌協詩
현장명제부, 사전명제부 [전각]
[한글] [한문]•[전각] 부문은 '음각' 또는 '양각' 중 자유 선택
  • ① 훈민정음        ② 세종대왕
  • ③ 선비정신       ④ 강원도의 힘
  • ① 君子固窮 군자는 아무리 곤궁해도 이를 편히 여기며 도의를 고수한다. - 論語
  • ② 本立而道生 근본이 확립되면 도가 생겨난다. - 論語
  • ③ 君子先愼乎德 군자는 먼저 덕을 삼가야 한다. - 大學
  • ④ 尊德性而道問學 덕성을 높이고 학문으로 말미암는다. - 中庸
[문인화] 사전 명제 제시
십군자 화제
  • 매(梅)
    香中別有韻 淸極不知寒
    매화의 향기 속에 특별한 운치가 있고 맑음이 극진하여 추위를 모르네.
  • 난(菊)
    蘭在幽林亦自香
    난초는 깊은 숲속에 있어도 스스로 향기를 내뿜는다.
  • 국(菊)
    衆芳當秋瘦 爾香待霜新
    모든 꽃은 가을 되면 메마르지만 네 향기는 서리 기다려 새롭다네.
  • 죽(竹)
    落葉逐霜風 幽人愛松竹
    낙엽은 서리 바람 몰아내고 그윽한 사람은 푸른 대나무를 사랑한다네.
  • 송(松)
    不愛松色奇 只聽松聲好
    소나무 경치 기이함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다만 소나무 소리 듣는 것이 좋다네.
  • 모란(牧丹)
    百香牧丹人見愛
    온갖 향기를 지닌 모란 사람들 아낀다네.
  • 파초(芭蕉)
    一種靈苗異 天然體性虛
    일종 신령한 싹 특이도 한데 천연으로 생긴 몸 성품 허하기도 하네.
  • 목련(木蓮)
    一樣木蓮色不同 滿枝紫白艶濃中
    같은 모양의 목련이 빛은 같지 않으나 가지에 가득한 붉고 흰 꽃이 어여쁘게 무르녹았네.
  • 포도(葡萄)
    色暎金盤果 香流玉椀漿
    색깔은 금반의 과일처럼 빛나고 향기는 옥완의 장에 흐르는 듯하네.
  • 연(蓮)
    論渠淸絶趣 天下少同人
    저 꽃의 맑고 뛰어난 정취를 논한다면 천하에 같이 할 사람 적을 것이네.

※ 현장명제부∙사전명제부는 낙관인必, 문인화는 화제必

[순수캘리] 부문 [한글] 사전명제와 동일함
글씨는 반드시 붓과 먹을 사용해야 하고
그림, 컬러, 패턴 등을 제외한 순수 글씨만 평가함.

※ 그림, 컬러 등 사용하면 낙선 처리함.

제48회 전국학생휘호대회 휘호명제/주의사항

[공통 명제] 사전 명제 제시(각 서체 중 자유 선택)
  • 초등부 [한글]
    • 세종대왕 훈민정음
    • 사랑하는 나의조국
  • 초등부 [한문]
    • 必誠其意 (반드시 그 뜻을 성실하게 한다. -大學-)
    • 先行其言 而後從之 (먼저 그 말한 것을 실행하고 그 뒤에 말이 따르게 한다. -論語-)
  • 초등부 [전각]

    • [전각] 부문은 '음각' 또는 양각' 중 자유 선택

    • 한글사랑
    • 一以貫之
      (하나의 이치가 모든 일을 꿰뚫는다. -論語-)
  • 중고등부 [한글]
    • 그밖에 더 아실이 안 계실거나
      그이의 젖은 옷깃 눈물이라고
      빛나는 별 아래 애닮은 입김이
      이슬로 맺히고 맺히었음을
      (김영랑 시- 그밖에 더 아실이)
  •  
    • 숲 향기 숨길을 가로막았소
      발끝에 구슬이 깨이어지고
      달 따라 들길을 걸어다니다
      하룻밤 여름을 새워 버렸소
      (김영랑 시- 숲 향기 숨길)
  • 중고등부 [한문]
    • 退筆如山未足珍 讀書萬卷始通神
      (버린 붓이 산처럼 쌓여도 그리 진기한 일 아니요, 만권 책을 읽어야 비로소 신명이 통한다네. -蘇軾 詩-)
    • 秋風惟苦吟 擧世少知音 窓外三更雨 燈前萬古心
      (가을바람 속에 오직 괴롭게 시 읊기만 온 세상 통틀어 알아주는 이 드무니까 창문 밖에 내리는 삼경의 빗소리 들으면서 등잔 앞에서 만고를 향해 이 마음 달리노라. -孤雲 崔致遠 詩-)
  • 중고등부 [전각]

    • [전각] 부문은 '음각' 또는 '양각' 중 자유 선택

    • 세종대왕
    • 君子務本(군자는 근본을 힘쓴다. -論語-)
[문인화] 부문은 자유 명제 휘호(채색 가능)